반응형 전체 글273 슬픔의 아들 벤야민 지파 스토리 이스라엘은 야곱(이스라엘)의 열두 아들에게서 시작된 열두 지파로 구성됩니다. 벤야민은 야곱의 막내아들이자 라헬의 둘째 아들입니다. 하지만 라헬은 벤야민을 낳다가 죽게 되는데 그래서 아들의 이름을 슬픔의 아들이라고 짓게 된 이유입니다. 작지만 강한 지파벤야민 지파는 인구가 적은 작은 지파지만, 전쟁과 용맹에서 강한 용사들로 유명했습니다. 특히 왼손잡이 용사들이 많았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그들은 유다 지파 옆, 이스라엘 중심부의 전략적 요지에 위치한 땅을 기업으로 받았는데, 그 안에 예루살렘, 여리고, 기브온, 미스바 같은 중요한 도시들이 포함됩니다. 역사적으로 베냐민 지파 출신의 유명인은 바로 이스라엘 초대 왕 사울이 바로 벤야민 지파 출신입니다. 이는 가장 작은 지파에서 왕이 나왔다는 점에서 역설적인 .. 2025. 4. 1. 의로움의 변질 멜기세덱과 아도니세덱의 다른 차이 멜기세덱과 아도니세덱은 모두 예루살렘의 왕으로 이름에 의로울 의(義), 혹은 의로움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예루살렘 이전 살렘의 왕이던 멜기세덱은 하나님을 섬기고 아브라함을 축복한 의로움 혹은 올바름의 상징인 반면, 아도니세덱은 하나님과 대적하다 여호수아에게 심판을 받은 거짓 의로움을 대표합니다. 같은 이름 다른 결과시시각각 가치관이 바뀌는 성경 같기도 하지만 본질을 중시한다고 치고, 특히 인물 간의 대조를 통해 의로움, 혹은 올바름의 결을 대조하는 서사가 많은 편입니다. 세덱은 의라는 뜻을 지닌 이름입니다. 성경에 멜기세덱과 아도니세덱이 바로 그러합니다. 같은 땅 예루살렘의 왕이었지만 두 왕은 다른 판단을 하게 됩니다. 창세기 14장에는 살렘의 왕 멜기세덱이 아브라함을 맞이하며 하나님의 이름으로 그를.. 2025. 3. 27. 여호수아의 치밀한 성욕 통제 계획에 무릎을 탁 여호수아 5장에 나오는 여호수아의 할례 명령은 언약 갱신이자 성욕 통제 전략이었습니다. 광야에서 이미 성적 타락을 경험한 그는 가나안 입성 전 본능을 제어하고자 할례 의식으로 전의를 다진 모양새입니다. 성욕과의 전쟁고대인들의 전쟁은 단순한 무력 충돌이 아니라 생명과 생식권을 두고 벌어지는 총체적인 지배 싸움이었습니다. 승자는 패자의 재산과 생명뿐만 아니라 여성들과 후손까지 지배하며 완전한 승리를 확인, 그리고 장악했습니다. 이 구조는 고대 사회 전반에 공통적으로 확인된 전쟁의 속성이었고 이스라엘 역사도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모세에서 여호수아로 후계를 이어받으며, 가나안 정복 직전 여호수아는 전군에게 할례를 명령하였습니다. 이는 단순한 종교적 의식을 뛰어넘은 전략적이고 심리적인 조치라고 보입니다. 여호.. 2025. 3. 20. 주역과 정역의 차이 주역과 정역은 동양 철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역학 학문이지만 그 사상적 기조와 해석 방법에는 확연한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정역은 주역을 토대로 출발하였으니 두 학문을 공부하고 비교하는 것이 필요해 보입니다. 주역의 특징주역은 중국 고대 주나라 때 만들어졌습니다. 본래는 점술과 관련된 경전으로 사용되었으나 유학에서 철학적 의미를 확장해 동양 사상의 근본적은 철학 체계로 자리 잡게 됩니다. 주역의 기본원리는 음과 양의 조화 및 변화의 원리로 해석하는 것입니다. 변화하는 자연과 인간의 삶을 상징적으로 설명하면서 우주의 이치를 탐구하는 학문입니다. 주역은 64개의 괘로 구성되며 여섯개의 효(爻)로 이루어진 괘들이 인간 삶의 변화와 우주의 질서를 상정합니다. 주역에서는 특히 순환적 시간관과 조화의 원리.. 2025. 2. 22. 말 잘하는 ENFJ와 비슷한 사주일주 리스트 말은 잘해도 타인의 성장과 발전을 돕는 것에서 상당한 만족감을 얻길 좋아하는 ENFJ 경우는 특히 말을 잘하고 남다른 설득력의 소유자가 많습니다. 갑술, 을사 및 무신 기유 일주 등이 해당합니다. 정의로운 활동가 ENFJ의 특징ENFJ는 말도 잘하고 도전적이며 정의감이 넘치는 편입니다. 본질적으로 외향적이라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에너지를 얻으며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을 좋아합니다. 매사 큰 그림을 그리며 가능성에 집중하며 자신보다 타인의 이익을 중시합니다. 또한, 구조와 조직을 선호하며 계획적이고 질서 정연한 삶을 추구합니다. 따뜻함과 배려심이 넘치는 사람이지만 과하면 자신의 본분을 망각하고 남의 일에만 참견하고 다닌다는 소리를 들을 수도 있습니다. ENFP와 비슷한 사주 일주 보기 발랄한 활동가 EN.. 2025. 2. 16. 칸트와 쇼펜하우어의 미학 사상 차이 및 정리 칸트와 쇼펜하우어는 아름다움과 예술에 대해 비슷하지만 각기 독창적인 개념을 제시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칸트는 판단력 비판에서 미와 숭고의 개념을 정립하였다면 쇼펜하우어는 예술을 통한 의지의 해방을 강조하였습니다. 칸트의 미학 칸트는 미를 순수한 관조의 대상으로 보고 아무 이해관계없이 순수하게 감상하는 것이 좋으며 중요하다고 하였습니다. 그래서 그는 미적 판단을 선험적 판단으로 보고 보편성을 지닌다고 주장했습니다. 내 눈에 예쁘면 남의 눈에도 예쁘다는 것인가 봅니다. 이러한 칸트의 미학 핵심 개념은 미적 판단은 이해 관계없는 쾌에서 나온다고 하였습니다. 직관적으로 명쾌하게 아름다운 것을 본 것입니다. 그래서 목적 없는 합목적정에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보편성을 강조하였습니다. 그러면서 숭고의 개념을 우위에.. 2025. 2. 11. 서양철학사 순서대로 공부하기 1.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 1. 그리스 도시국가:공동체 속의 인간2.탈레스-모든 것은 물이다 주장.3.아낙시만드로스와 아낙시메네스-4.헤라클레이토스, 파르메니데스, 제논5.중재적 철학자-엠페도클레스와 아낙사고라스6.데모크리토스7.피타고라스학파 2장 소피스트와 소크라테스1.소피스트들-고르기아스,트라쉬마코스,프로타코라스2.소크라테스-소피스트의 자연철학에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닌 인식론과 윤리적, 정치적 문제에 관심 3장 플라톤 이데아론과 이상 국가 1.지식과 존재-이데아와 지식/에로스와 교육/이데아와 총체성/비유들/이데아론과 인간의 역할2.플라톤의 국가와 좋음3.예술의 윤리적 책임 4장 아리스토텔레스자연 질서와 정치적 동물로서의 인간1.이데아인가 실체인가2.존재론과 인식론3.아리스토텔레스와 생태학4.지식과.. 2025. 2. 11. 상속 문제에 관해 다루는 민수기 36장 민수기 36장은 민수기 27장에서 다뤘던 슬로프하드의 딸들의 상속 문제와 여자 상속자의 결혼과 그에 따른 상속권에 관한 규정을 설정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상속을 받되 다른 지파에게 뺏기는 것은 안 되는 이유 민수기 27장과 같은 내용이 등장하는 민수기 36장입니다. 1 The heads of the fathers' houses of the clan of the people of Gilead the son of Machir, son of Manasseh, from the clans of the people of Joseph, came near and spoke before Moses and before the chiefs, the heads of the fathers' houses of the p.. 2025. 2. 4. 이전 1 2 3 4 ··· 3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