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주명리학62 정묘일주생 특징과 대처법 정묘일주는 생동력이 넘치는 편이지만 일주 중 가장 약하다고 본다. 정묘일주는 길가에 낮게 그리고 넓게 퍼져 자란 식물과 흡사하다. 입을 오물오물 쉴 새 없이 움직이며 음식을 먹는 다람쥐나 토끼를 연상케 한다. 정묘일주의 특징 작고 귀여운 초식 동물이지만 정력은 왕성하여 악착같은 특징도 지닌다. 이처럼 은근과 끈기로 악착같은 면모가 두드러지는 성향의 정묘일주생은 정속 주행을 하지 않고 과속하는 등 무리하거나 탈이 나는 경우가 있으니 항상 절제가 필요하다. 정묘일주는 매사 적극적이고 활동적인 편이라 무슨 일이든 맡기면 잘 해내리라는 믿음을 주는 반면 막상 큰일을 맡았을 때는 성과가 적은 편이다. 또한, 하나에 매진하지 못하고 이것저것 손만 대다 결실을 못 보는 경우가 허다하기에 굉장히 산만한 편이다. 그래서.. 2023. 4. 16. 병인일주생의 남다른 특징 병인일주는 매력 있고 독특한 사주이다. 보통 임수가 없는 병화는 멍청하다고 하고 신금을 만나면 겁쟁이가 된다고 하지만 꼭 그렇지는 않다. 하지만 병인일주 남자가 신금 엄마를 만나면 마마보이가 되고 신금 여자를 만나면 공처가가 되기 쉽다고 하는 말은 일면 맞는 부분이 있다. 병인일주의 특징 병인일주는 매력 있고 독특한 사주이다. 보통 임수가 없는 병화는 멍청하다고 하고 신금을 만나면 겁쟁이가 된다고 하지만 꼭 그렇지는 않다. 하지만 병인일주 남자가 신금 엄마를 만나면 마마보이가 되고 신금 여자를 만나면 공처가가 되기 쉽다고 하는 말은 일면 맞는 부분이 있다. 병화는 특별한 카리스마를 부리려고만 하지 않는다면 대체로 호인 대접을 받는다. 이것도 토가 많을 경우에 해당한다. 성공한 병인일주생 특징을 보면 유달.. 2023. 4. 15. 을축일주 특징 을축은 동쪽의 언땅이다. 동쪽 땅에서 새싹이 축토 속의 계수의 생을 받아 뚫고 나오는 것을 의미한다. 어린 새싹이 차갑고 단단한 흙을 뚫고 나온다는 건 대단한 집념과 의지가 필요하다는 것을 내포한다. 을축일주에 관하여 을축은 특히 언땅이라고 해서 따뜻한 병화의 기운을 받는 것을 요하는데 음지에서 음흉하게 잘 크는 식물도 있으니 잘 살펴야 한다. 그러나 일반인 사주를 볼 때 을축이나 정축이나 축이 두개가 나란히 있는 사주의 경우 운이 풀리는 데 상당히 시간이 걸린다. 반대로 운이 풀리면 남들보다 두 배로 잘 풀리니 노력하면 반드시 보상이 따른다. 21세기에 적합한 을축일주 대체로 을축은 넓고 무성하게 생명력을 자랑하는 반면 큰 재목처럼 보이지는 않는다. 그래서 을목일주 큰인물은 나오기 힘들다는 말도 있었다.. 2023. 4. 15. 갑자일주생 특징과 대처법 갑자일주는 청색 쥐에 해당하며 갑목에 자수로 차가운 물 위에 나무가 자란 격입니다. 물 위에 나무가 떠 있거나 물 위에 돛을 단 배로 보기도 합니다만 혼자서 잘 되는 경우보다 조력자 혹은 보호자의 지도 아래 성장한다면 큰 인물이 될 확률이 높은 일주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방치하면 이도 저도 되지 않고 자존심만 부리니 주의해야 합니다. 우두머리 기질의 갑자일주생 특징 우두머리 성향이 강한 갑자일주는 육십갑자 중 가장 첫 번째 위치하고 있어서 그런지 사람들의 관심도 남다른 편입니다. 갑자일주생은 시작을 잘하는 일주로 유명합니다. 뭐든 앞에 있고 앞서 나가니 자신감도 넘치고 주목받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섣불리 나섰다가는 봉변당하기 쉽습니다. 때 이른 새싹이 올라오듯 너무 성급하게.. 2023. 4. 14. 사주 강약 중 신강한 사주의 의미와 특징에 관하여 신강한 사주는 크게 여덟 단계로 나뉩니다. 득령, 득지, 득세한 사주는 최강으로 신강한 사주를 의미하며 득령, 득세하였으나 실지한 사주는 중강 사주 그리고 득령, 득지하였으나 실세한 사주는 강사주라고 합니다. 한편, 실령하였으나 득지 득세한 사주는 약변강 사주라고 합니다. 신강한 사주는 대체로 본기가 강하여 홀로 능히 열 일을 한다고 보면 됩니다. 신강한 사주의 특징 사주 볼 때 신강한 사주라고 나오면 개인의 주체성이 강하고 주관이 뚜렷한 성향이 다분하다고 보면 됩니다. 남의 도움을 받기보다 혼자서도 알아서 척척 다 해내려고 하고 규제와 통제를 싫어할 수 있습니다. 그러다 보면 자신감도 넘치고 무모하여 남들과 불화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신강한 사주의 장단점을 살펴보고 대처하면 됩니다. 신강한 사주의 장.. 2023. 4. 7. 사주 오행별 특성에 관하여 사주 오행 목화토금수 중 각각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행 특성 목에 관하여 사주 오행 목 중 양목에 속하는 갑목의 경우 수기를 보는 것은 좋아하지만 흡수되는 것은 꺼려하는 편입니다. 보통 나무가 물이 적어서보다는 과습 해서 죽는 경우가 더 많다고 하는 것처럼 말입니다. 또한, 갑목이 발달한 여성은 섬세하게 생긴 외형과는 달리 곰 같고 우직하고 든든한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남성은 섬세하고 유연한 태도가 부족해서 잘 나가다 한 번에 훅 갈 수 있는 성향도 더러 보이고요. 을목은 강인한 생명력을 상징합니다. 남녀 모두 을목이 발달하면 생명력 혹은 생활력이 강한 편입니다. 갑목생보다 척박한 환경에 더 잘 적응하고 그 때문에 기복이 크기도 하지만 잘 버티고 극복하는 힘도 남다릅니다. 오행 특성 화에 .. 2023. 3. 29. 사주 일지로 보는 관상보기 자수의 관상 팔자대로 산다는 말도 있지만 사주대로 관상이 보이는 경우도 많습니다. 태어난 연월일시가 정확하다면 거의 일치한다고 보일 정도로 남녀 모두 사주의 구성별 관상을 지니는데요. 연예인의 사주 일간을 통해 비슷한 근거를 찾아보았습니다. 사주 일지별 관상 보기 육십갑자 일주별 비슷한 관상을 찾는다는 것은 주로 일주 지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 같습니다. 보통 태어난 띠로 생김새를 가늠하기에는 너무 광범위하지만 일주라면 보다 개성있고 신빙성이 있다고 보입니다. 그러니까 개띠에 태어난 사람보다는 개의 날에 태어난 사람이 보다 개의 관상에 가깝다는 거죠. 물론 천간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등의 물상으로도 형상을 유추할 수 있지만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의 12가지 동물 특성과 더 연관 짓기 쉽죠. 그렇게 본 태어난 지지로 보는.. 2023. 3. 10. 무토일간의 특징 사주에서 무토일생은 천간 5번째 양토에 해당하며 무토는 건조한 흙을 의미합니다. 계절적으로 가을을 의미하여 봄여름의 활기찬 기운이 가을에 이르러 갈무리되는 관계로 만물을 주관하면서 발생하는 중재자 역할을 합니다. 무토의 특징 무토일생의 가장 큰 특징은 중재자입니다. 사주에서 무토 일간이라고 하면 일단 직업적으로 중개 관련업이나 인간관계에서 중재자 역할을 탁월하게 잘할 수 있는 소질이 있다고 보면 됩니다. 무토는 기본적으로 건조한 토양을 의미하므로 곡식이 자라거나 생물이 생장하기는 힘들지만 현대에서는 무한한 가능성과 잠재력을 의미합니다. 성장 가능성과 스케일 큰 무토의 일주별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무오일주생 특징 염화지라고 해서 열기가 가장 강한 무오일주생은 엄청난 기운을 장착한 일주입니다. 하지만 너무.. 2023. 3. 4.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