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철학역사

서양철학사 순서대로 공부하기

by 에이제이패션 2025. 2. 11.

1.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

 

1. 그리스 도시국가:공동체 속의 인간

2.탈레스-모든 것은 물이다 주장.

3.아낙시만드로스와 아낙시메네스-

4.헤라클레이토스, 파르메니데스, 제논

5.중재적 철학자-엠페도클레스와 아낙사고라스

6.데모크리토스

7.피타고라스학파

 

 

2장 소피스트와 소크라테스

1.소피스트들

-고르기아스,트라쉬마코스,프로타코라스

2.소크라테스-소피스트의 자연철학에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닌 인식론과 윤리적, 정치적 문제에 관심

 

3장 플라톤 이데아론과 이상 국가

 

1.지식과 존재-이데아와 지식/에로스와 교육/이데아와 총체성/비유들/이데아론과 인간의 역할

2.플라톤의 국가와 좋음

3.예술의 윤리적 책임

 

 

4장 아리스토텔레스

자연 질서와 정치적 동물로서의 인간

1.이데아인가 실체인가

2.존재론과 인식론

3.아리스토텔레스와 생태학

4.지식과 실천

5.예술-모방과 카타르시스

 

5장 후기 고대 철학

 

 

1.개인의 행복 확보-그리스 도시국가에서 헬레니즘 제국으로

2.에피쿠로스학파-개인의 안녕의 확보

3.스토아학파-개인의 행복의 확보

4.신플라톤주의

5.회의주의

6.고대의 과학과 학문

 

6장 중세

 

1.기독교와 철학

2.교황과 왕-한 나라 안의 두 지배자

3.아우구스티누스-신앙과 이성

4.보편자 문제와 스콜라철학

5.토마스 아퀴나스-조화와 종합

6.파두아의 마르실리우스와 오컴의 윌리엄-종합에서 회의주의로

7.마르틴 루터-주의주의와 유명론:오직 신앙만이

8.대학의 전통-트리비움: 세겹의 길이라 불림 문법학, 수사학, 논리학

                 리비움: 네 겹의 길, 기하학, 산술학, 천문학, 음악으로 구성

9.아랍의 철학과 과학

 

7장

자연과학의 발흥

1.방법 논쟁

2.천문학-코페르니쿠스와 케플러

3.물리학-갈릴레이와 뉴턴

4.생물학적 과학

5.수브-엑툼으로서의 인간

 

8장 르네상스와 레알폴리틱-마키아벨리와 홉스

 

1.마키아벨리-조작으로서의 정치

2.계약에 의한 정치와 자연법에 의한 정치-알투지우스와 그로티우스

3.홉스-개인과 자기 보존

 

 

9장 의심과 믿음-중심에 선 인간

1.데카르트-방법적 회의와 이성에 대한 신뢰

2.파스칼-가슴의 이성

3.비코-본보기로서의 역사

 

10장 체계로서의 합리주의

1.스피노자-신은 자연이다.

2.라이프니츠-단자와 예정조화

 

11장 로크-계몽과 평등

1.인식론과 지식 비판

2.정치 이론-개인과 권리

 

12장 경험주의와 인식비판

1.버클리-내부로부터의 경험주의 비판

2.흄-비판으로서의 경험주의

 

13장 계몽주의-이성과 진보

1.근대화와 과학

2.세속적 행복

3.몽테스키외-권력분립과 환경의 영향

4.엘베시우스-개인과 쾌락

5.경제적 자유주의-애덤스미스/리카도와 맬서스/

6.루소-계몽주의 철학에 대한 비판

7.에드먼드 버크-보수적 반동 (에드먼드 버크 보수주의의 아버지로 불림) 이성보다 전통을 중시

 

14장 공리주의와 자유주의

1.제러미 벤담과 제임스 밀-쾌락 계산과 법률 개혁

2.존 스튜어트 밀-사회자유주의 그리고 합리성의 조건으로서의 리버럴리티

3.토머스 힐 그린

4.존 메이너드 케인즈

 

 

15장 칸트

철학에서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

 

1.선험철학-인식론

2.선험철학-도덕 이론

3.정치 이론

4.판단력-목적론과 미학

 

16장 인문학의 대두

1.배경

1700년대 후반 유럽 문화 안에 독립적인 세 가지 체계가 등장하는데 과학과 도덕성/윤리 그리고 예술이다. 이러한 지성적 분화는 타당성에 대한 세 가지 상이한 주장과 연관되어 있었다. 과학은 진리의 문제에 대해 입장을 취하고, 도덕성/윤리는 규범적 문제들을 다루었다. 예술에 대한 연구는 특유의 미학적 문제들을 제기했다. 그리고 진리(과학)와 정의(도덕성/윤리)그리고 미(예술)에 대한 문제들은 또한 종교적 문제들과 구분해야 했다. 과학과 도덕과 예술은 종교로부터 독립을 성취했고 근대가 시작되었다.

칸트는 르네상스와 함께 시작된 문화적 발전의 정점이었다.

2.헤르더와 역사주의

3.슐라이어마허와 해석학

4.역사학파-사비니와 랑케

5.드로이젠과 딜타이-인문학의 고유성

6.역사주의 패러다임의 해체

 

17장

헤겔-역사와 변증법

1.성찰, 변증법, 경험

2.주인과 노예-인정 투쟁과 사회적 정체성

3.이성으로서의 전통-보편과 개별 간의 긴장

4.가족, 시민사회 그리고 국가

5.헤겔에 대한 반박들-헤겔의 체계 내에는 개인이 설 자리가 없다.헤겔의 철학은 전체주의적이다.헤겔은 보수적이다. 헤겔의 역사관은 지나치게 낙관주의적이다.

 

18장 맑스

부유한 유대계 독일 변호사 아들로 태어났다. 고대 그리스의 유물론을 집중적으로 공부한 그는 당시 좌파 헤겔주의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다. 맑스와 엥겔스는 함께 행동 강령을 만드는 작업을 했고 그 결과 공산당 선언이다. 1848년 혁명이 일어나자 맑스는 독일 라인라트로 돌아갔다. 

1.변증법과 소외

맑스는 세계를 해석하는데 만족하지 않고 세계를 변혁하고자 했다.

2.역사적 유물론

3.생산력과 생산관계

4.잉여가치와 착취

5.맑스에 대한 반론들

6.프리드리히 엥겔스-맑스주의적 관점에서 본 가족

 

19장 키르케고르-실존과 아이러니

1.직접적 의사소통과 실존적 의사소통

키르케고르는 한 인간으로서도 작가로서도 긴장으로 가득한 사람이었다. 한편으로 죄와 불안을 중심으로 골똘히 생각하는 내향적인 태도와 다른 한편으로는 개인적 자유와 자율성을 향한 갈망으로 특징지어지는 자의식적이고 성숙한 태도 간의 긴장이었다.

2.삶의 방식에서의 세 단계

교화적 해석

종합적 해석

아이러니하고 성찰적인 해석

 

3.주관성이 진리다

4.민주주의와 데마고기

키르케고르는 반민주적이었다. 그는 절대군주제를 숭배했다. 그는 민주주의가 현실에 있어서는 데마고기로 즉 올바른 견해와 태도를 가질 것을 강요함으로써 개개인의 인격적 진실성이 위협당할수 있는 사회로 변질될 것을 우려했다. 이것은 소외의 증가, 즉 실존적 절망을 초래할 것이다. 쉴 새 없이 일에 바쁜 부르주아만이 아니라 역시 바삐 돌아다니면서 훨씬 머리가 텅 빈 아마추어 정치인들이 함께 사회를 지배함으로써 삶에 대한 진정한 실존적 태도를 몰아낼 것이다. 이렇게 민주적 지배 체제와 등장에 대한 키르케고르의 비판은 소외와 실존적 빈곤화에 대한 그의 일반적 비판의 일부이다. 754.

 

20장 다윈- 인간 개념을 둘러싼 논쟁

1.자연선택과 인간의 기원

2.다윈주의와 사회생물학

 

21장 니체와 실용주의

루터파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청교도적 환경에서 성장. 일찍부터 철학과 음악, 문학에 관심을 가졌다. 1889년 돌이킬 수 없는 정신쇠약게 걸렸다.

학창시절 니체는 쇼펜하우어의 염세주의 철학과 리하르트 바그너의 음악을 알게 되었다. 토마스 만, 알베르 카뮈, 장 폴 사르트르, 아우구스트 스트린드베리, 마르틴 하이데거 같은 유럽의 저술가들은 여러 면에서 니체의 영향을 받았다.

키르케고르처럼 니체도 대중과 현실에 안주하는 교양 부르주아지를 경멸했다. 키르케고르와 니체는 현대 실존주의 철학의 중심인물이 되었다.

 

1.신은 죽었다-유럽 허무주의

1880년대는 낙관주의와 진보와 발전의 시기였다.

2.형이상학과 기독교 비판

3.도덕철학

4.위버멘쉬, 힘에의 의지 그리고 영원회귀

니체의 위버멘쉬 이상에 가장 근접하는 인물은 괴테인 듯하다. 784.

-니체 사상의 많은 부분이 힘에의 의지 개념에 집중되어 있다.

 

5.인식론

6.진리는 효과이다-미국의 실용주의

 

 

22장 사회주의와 파시즘

1.공산주의-레닌:당과 국가

혁명은 가장 약한 고리에서 시작된다.

레닌의 가장 중요한 기여는 강력한 당 조직의 건설이었다. 레닌ㄴ은 노동계급을 공산주의 사회로 이끌기 위해서는 잘 훈련된 혁명가들로 구성된 강력한 엘리트 정당이 필요하다고 확신했다.

고전적 맑스 주의는 공산주의가 도입되면 즉 계급사회와 억압이 철폐되면 국가는 소멸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가는 지배계급이 하층계급들에 대해 행사하는 하나의 억압 기구라고 보았다. 계급적 억압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면 국가도 불필요해질 것이다. 801. 경찰, 군대, 법체계 이 모든 것은 계급국가의 단면이다.

1989년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자 중용한 정치 신조로서의 맑스주의와 레닌주의는 소멸하였다.

2.아나키즘과 생디칼리즘

 

그리스 말 아나르코스는 지도자가 없는 이라는 뜻. 생디카는 노동조합을 뜻하는 프랑스어이다.

3.사회민주주의-사회복지와 의회주의

4.파시즘-민족주의와 질서

파시즘 특징

-정부 통제의 국가 조합주의로서 방종한 자유주의와 노동조합을 탄압함

-공동의 이해관계를 우선함

-대중의 정치적 동원과 의회주의에 대한 거부

-자본주의 및 거대 부르주아지와 사회주의 및 공산주의 모두에 대한 애증이 엇갈리는 태도, 등

 

23장 프로이트와 정신분석학

1.정신분석학-새로운 인간관

2.꿈-무의식에 이르는 길

3.억압적 문화와 죄책감

4.정신분석학과 과학철학

 

 

24장 사회과학의 대두

1.배경

2.오귀스트 콩트-사회학의 대사제, 사회학의 선구자.

3.알렉시 드 토크빌-미국의 민주주의

4.페르디난트 퇴니스-게마인샤프트와 게젤샤프트

5.게오르크 짐멜-피륙과 같은 사회적 조직

6.에밀 뒤르켐-사회와 사회적 연대

7.막스 베버-합리성과 영웅적 비관주의

8.탤컷 파슨즈-행위와 기능

 

 

25장 자연과학에서의 새로운 진전

1.아인슈타인과 현대물리학

2.과학적 다양성과 기술 발전-과학의 적용과 학제적 접근 방식

 

26장 현대 철학 개관

1. 논리실증주의-논리와 경험주의

2.칼 포퍼와 비판적 합리주의

3.토마스 쿤-과학에서의 패러다임 전환

4.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실천으로서의 분석철학

5.일상언어철학과 발화행위이론-오스틴과 설

6.현상학과 실존주의-후설과 사르트르

현상학은 말 그대로 현상들에 대한 학문.사건과 행위를 현상하는 대로 기술하려고 시도하는 철학 학파이다.

7.정체성과 인정-시몬 드 보부아르와 페미니즘 철학

8.존 롤즈-공정으로서의 정의

 

27장 근대성과 위기

1.근대성 비판

2.마르틴 하이데거-시적인 것을 통하여

3. 한나 아렌트- 비타 악티바

4.가다머-해석학적 전통

5. 데리다, 푸코 그리고 로티-해체와 비판

자크 데리다는 니체와 프로이드의 후예.

6.위르겐 하버마스- 논변 제시를 통해서

반응형

댓글